■ 머니쇼+ '증시 인사이트' -이진우
페이지 정보
작성자 afht43oso
작성일25-06-09 16:18
조회1회
댓글0건
관련링크
본문
■ 머니쇼+ '증시 인사이트' -이진우 GFM투자연구소 소장현충일에 주말까지 연달아 쉬면서 국내증시가 오늘(9일)도 상승세를 이어갈까 싶었는데요. 양 시장 동반 출발 후 강한 흐름 보입니다. 개인과 기관은 순매도했지만 외국인의 '사자'가 더 강했네요. 1% 넘게 오른 코스피는 2850에 근접하며 거래를 마쳤습니다. 주말 사이에 참 많은 일이 있었는데,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불법 이민자 단속에 맞서는 시위가 계속되고 있는데요. 미국으로의 이민자 감소가 관세보다 더 큰 충격을 줄 수 있다고 해요?블룸버그는 지난주 미국의 고용보고서에서 노동력 규모가 감소한 것은, 외국 국적의 근로자 수가 많이 줄었기 때문이라고 했죠. 그만큼 '불법 이민자'가 많았구나 싶기도 하고요.60년 만의 연방군 투입으로 자칫 마찰이 일어나는 건 아닐까 우려가 커지기도 했고, SNS에는 한인들이 서로 조심하자는 글도 올라왔다라요.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초기부터 불법 이민자 단속을 강하게 밀고 나가는데 이게 경제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해 봐야겠네요. 이민 단속 강화 조치가 금리인하를 미룰 요인도 된다고 하잖아요. 미국의 고용에 영향을 준다는 건데 이달 FOMC에도 영향을 주게 될지 지켜봐야겠습니다.Q. 미국 증시 상황부터 기술적으로 좀 짚어볼까요? 이진우 소장님 나오시는 날엔 시청자분들께서도 차트를 통해 시장 위치를 직접 확인하시는 시간으로 여기시는 것 같더라고요?- 미국 증시, 기술적으로 어디쯤 와 있나 - 차트로 보는 미국 시장 흐름 - 고점 경계감 속 기술적 반등 지속 - S&P500, 6000 목전…차트상 의미는? - 기술적 분석으로 본 美 증시 다음 지점은? - 과매수권 진입? 미국 시장 차트 신호는 - 단기 고점 신호일까, 조정의 시작일까 - 미국 증시 차트, 저항선 돌파 시도 중 - 상승세 지속 조건은? 기술적 요건 분석 - 시장 심리와 차트, 동행할 수 있을까?Q.마이크로소프트가 또다시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우면서 시가총액 1위 자리를 더욱 굳혔습니다. 이날 특별한 호재 없이도 상승했는데, 트럼프-머스크 갈등 완화와 고용지표 강세가 영향을 준 [이데일리 조용석 기자] 대선 TV토론 발언과 관련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의 의원직을 박탈해달라는 국회 국민청원 동의수가 40만명을 넘어섰다. 해당 청원은 접수 기준을 벌써 넘어섰으나 이를 심의할 상임위인 국회 윤리특별위원회가 아직 구성되지 않아 논의가 진척되기 어려울 전망이다.9일 국회전자청원 홈페이지에 따르면, ‘이준석 의원의 의원직 제명에 관한 청원’은 9일 오후 3시30분 기준 동의수가 43만9116명으로 집계됐다. 지난 4일부터 청원 동의를 받기 시작한 이후 5일 만에 40만명을 넘어선 것이다. (자료 = 국회 국민동원청원 홈페이지 캡쳐) 해당 청원은 청원접수 조건인 ‘30일 이내 5만명 동의’를 가뿐하게 넘어섰다. 이에 따라 이준석 의원에 대한 제명 청원은 정식 접수절차를 거쳐 관련 상임위인 윤리특위에서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이 의원에 대한 제명청원은 지난달 27일 진행된 TV방송토론 발언 때문이다. 청구인은 “이 의원은 모든 주권자 시민이 지켜보고 있는 가운데 상대 후보를 공격하기 위해 여성의 신체에 대한 폭력을 묘사하는 언어 성폭력을 저질렀다”며 “대통령 선거 후보자이자 제22대 국회의원인 이준석 의원의 해당 발화는 여성의 신체를 정치적 공격의 도구로 삼는 헌정사상 유례없는 일”이라고 청구 이유를 밝혔다. 제명청원과 별개로 민주당은 이 의원에 대한 징계안을 이미 발의한 상태다. 징계안을 제출한 민주당과 조국혁신당 의원 등 21명은 이준석 후보의 TV토론 발언에 대해 “여성의 신체 부위를 언급한 성폭력과 성희롱”이라며 “이준석 후보가 공직선거법상 후보자 등의 비방금지, 정보통신망법상 불법정보의 유통금지, 국회의원윤리강령 및 윤리실천규범(품위유지), 정서적 아동학대를 현저하게 위반한 행위”라고도 주장했다.비상계엄 및 탄핵사태까지 얽힌 22대 국회는 여야가 서로를 향한 징계안을 난사하고 있다. 지난해 5월30일 개원한 22대 국회는 9일 현재까지 약 1년 동안 무려 28건의 징계안의 발의된 상태다. 21대 국회에서 4년간 발의된 징계안이 53개에 불과했다. 지금 속도라면 22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