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운로드 자료실

다운로드 자료실

이진숙

페이지 정보

작성자 onion
작성일25-07-17 06:40 조회1회 댓글0건

본문

이진숙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인사청문회에서 논문 표절 의혹 자료를 보고 있다. [뉴시스] “언론 보도는 학계의 상황을 이해하지 못한 상황에서 나온 결론이다.” 16일 국회 인사청문회에 출석한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논문 표절 논란을 해명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이날 그는 이재명 정부의 첫 교육 수장으로 지명된 후 2주간 제기된 제자 논문 가로채기 논란 의혹에 대해 ‘이공계 관행’ 등을 들어 오해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논문을 검증했던 교수단체와 학계에선 “궤변”이란 비판이 이어졌고, 참여연대 등은 그의 사퇴를 촉구했다. 이날 청문회에서 이 후보자는 자녀의 불법 조기유학에 대해 “불법이라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다. 큰 실수였던 것 같다”며 고개를 숙였다. 그의 두 딸은 2006~2011년 미국의 기숙형 사립학교를 다녔는데, 차녀는 중3 때 조기유학을 떠나 의무교육 기간 부모 동행 없는 유학을 금지한 당시 법 규정을 어겼다. 논문 관련 의혹엔 적극 해명했다.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에 대해 이공계의 관행을 들어 “대부분 학생이 학위논문을 (발표)하기 전에 제가 국가 연구 프로젝트로 수주해서 연구 책임자로 수행했던 연구들이다. (제가) 제1 저자가 되는 것은 너무나도 당연한 일”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범학계 국민검증단’(검증단) 등이 사용한 표절 판별 프로그램(카피킬러)을 문제 삼으면서 “카피킬러는 유사 자료가 겹칠 때마다 유사율이 올라가기 때문에 전문가가 제외하면서 정확히 돌려야 유사율(표절률)이 나온다”고 주장했다. 그는 “여러 언론에서 2007년 이전 논문이 나왔길래 저도 돌려봤다. 전혀 타당치 않은, 10%를 겨우 넘는 표절률이 나왔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발언에 학계는 재반박했다. 건축공학 전공인 서울의 한 사립대 교수는 중앙일보에 “연구비를 수주한 게 교수라도 실제 연구를 수행한 게 제자라면 교신저자, 지도교수로 들어가는 것이 보통이지 적어도 제1 저자는 아니다”고 꼬집었다. 연구비·아이디어를 제공했더라도 연구 수행에 보다 실질적인 기여가 없다면 제1 저자로 보기 어렵단 얘기다. 특히 ‘연구 중 학생들이 연구노트를 쓰고 자신은 수첩에 기록했다’ 윤석열(왼쪽)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2023년 3월 2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복지 ·노동현장 종사자 초청 오찬행사에서 현장 영상을 시청하고 있다. 서재훈 기자 '건진법사' 전성배(64)씨의 휴대폰에서 김건희 여사 측에 '인사 청탁' 메시지를 직접 전달한 사실이 확인됐다. "전달하지 않았다"는 전씨 주장과 달리, '법사폰'에는 전씨가 김 여사 측에 여러 차례 청탁 관련 문자를 보낸 내역이 남아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16일 한국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김 여사 관련 의혹을 수사 중인 민중기 특검팀이 압수수색을 통해 확보한 전씨의 휴대폰 2대에는 지방선거 공천 청탁 외에도 검찰, 경찰, 은행, 대기업, 정부기관 인사와 관련된 청탁 문자메시지가 다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문자는 앞서 전씨 관련 의혹을 수사한 서울남부지검 가상자산범죄합수부(부장 박건욱)가 전씨의 휴대폰을 포렌식하는 과정에서 확보했다. 검찰은 해당 의혹이 특검법상 수사 대상인 만큼 포렌식 기록을 전씨 관련 수사자료에 첨부해 특검팀에 이첩했고, 특검팀도 이번 압수수색 과정에서 이런 문자가 남아 있는 법사폰 실물을 확보했다.특검팀은 이 중 사업가 A씨와 전씨가 주고받은 문자 내역에 주목하고 있다. 특검팀은 전씨를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알선수재 혐의 피의자로 적시하고, 전날부터 이틀간 전씨 법당과 A씨 자택 등 13곳에 대해 전방위적으로 압수수색을 벌였다. A씨는 윤석열 전 대통령 취임 후 전씨에게 강석훈 전 새누리당(국민의힘 전신) 국회의원을 대통령실 경제수석비서관에 임명해달라는 취지의 청탁 문자를 수차례 보냈다. 윤 전 대통령이 20대 대선에서 당선된 지 나흘 뒤인 3월 14일, A씨는 전씨에게 '윤석열 인수위 경제분과 간사에 최상목 농협대 총장 내정'이라는 제목의 기사 링크를 보내며 불만을 표했다. A씨는 "(최상목은) 선대위에서 활동도 하지 않았습니다. 그룹과의 가교 역할도 고문님과 확실히 할 사람이 강석훈입니다"라며 "(강 전 의원을) 인수위에 넣고 품에 보듬으셔야 합니다"라고 보냈다. 강 전 의원을 인수위에서 크게 써야 하지 않겠느냐는 취지의 문자였다. 이에 대해 전씨는 답장을 하지 않았다. 그래픽=송정근 기자 이 무렵(3월 16일) 강 전 의원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정책특보'로 임명됐다. 대통령실은 당시 발탁 배경에 대해 " 이진숙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